62년 만에 독립부서로… 윤 대통령, '국가보훈부 공포안' 서명
"국가의 품격은 누구를 기억하느냐에 달려 있다."
윤석열 대통령이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보훈부의 승격과 재외동포청을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공포안 서명식을 마친 후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. 서재훈 기자
윤석열 대통령은 2일 국가유공자를 예우하는 격을 높이기 위해 국가보훈처를 62년 만에 국가보훈부로 격상하는 정부조직법 공포안에 서명하며 이같이 말했다. 독립운동가와 한국전·월남전 참전 용사, 천안함 순직 용사 등 국가를 위해 헌신한 영웅들에 대한 예우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이다.
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독립유공자와 민주유공자 등 보훈 관련 인사 50여 명을 초청해 서명식을 열었다. 새로 공포된 정부조직법에 따라 오는 6월 국가보훈처가 부로 격상되고, 외교부 산하에 재외동포청이 신설되는 데 따른 것이다. 통상 전자결재를 하는 방식과 달리 대통령이 부처 신설과 관련한 법안을 대통령이 직접 서명하는 행사를 연 것은 처음이다.
윤 대통령은 서명을 마친 뒤 "어제 3·1절 기념사에서도 말씀드렸지만,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제대로 기억하지 않는 국가는 미래가 없다"며 "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이 존중받고 예우받는 보훈문화 확산"이라고 강조했다. 또 "국가보훈부 승격, 재외동포청 신설 모두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일"이라며 "우리의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재외동포 보호라는 대한민국 헌법정신을 실천하는 일"이라고 강조했다.
윤 대통령은 참석자 전원과 악수를 나누며 보훈가족에 대한 감사를 전했다. 특히 1965년 파월 장병 훈련 도중 이등병이 잘못 흘린 수류탄을 몸으로 막아 산화한 고 강재구 소령의 배우자 온영순 여사와 인사를 나누며 "1964년에 태어나신 아드님이 1년 만에 아버님을 떠나보내게 되어 상심이 크셨겠다"고 위로했다.
62년 만에 보훈부 격상... 첫 장관엔 박민식 유력
국가보훈처는 이번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1961년 전신인 군사원호청이 신설된 지 62년 만에 국가보훈부로 거듭나게 됐다. 윤 대통령의 대선공약 중 하나로, 국가유공자 및 가족에 대한 예우·지원 등 보훈 기능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보훈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조치다.
부처 승격으로 수장 역시 장관으로 격상된다. 첫 보훈부 장관 후보자로는 박민식 현 국가보훈처장이 유력하다. 박 처장은 1988년 외무고시에 합격해 외무부에서 일하다가 1993년에는 사법시험에 합격, 1996년부터 검사(사법연수원 25기)로 근무했다. 18·19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윤 대통령 대선캠프에서 전략기획실장을 맡았다. 부친은 베트남전에서 전사한 고(故) 박순유 중령으로, 박 처장도 보훈 가족이다.
김지현 기자








